top of page
black-1072366_1920.jpg

​믿음의 동행

우리가 일할 수 있는 이유는

우리가 일할 수 있도록 함께 해주는

소중한 파트너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모든 공급사와 고객분들에게 항상 감사드립니다.

​한국서부발전 Korea Western Power

협력 기간 | 2021년 봄 - 현​재

한국전력회사의 자회사로 총 발전설비용량은 약 12,000MW이며 국내 전력공급설비의 약 11%를 담당하고 있다. 정부의 거듭된 탄소배출 절감요구에 부응하여 국내 최초로 IGCC(석탄가스화복합발전)플랜트를 운영하고 있다. 석탄을 가스화하여 연소하기 때문에 환경기준을 천연가스플랜트 수준으로 맞출 수 있다.​ 태안, 평택, 서인천, 군산 등에 발전본부를 두고 있다. 

​한국남동발전 Korea South-East Power

협력 기간 | 2023년 여름 - 현재

한국전력회사의 자회사로 영흥본부, 삼천포본부 등 각지의 발전소에서 시설용량 10,000MW의 설비를 가동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발전소 중 설비용량 기준 약 12%, 판매량 기준 13%, 판매금액 기준 13%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5개 발전회사들 중,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비중이 가장 높다. 이처럼 원료가 저렴하기 때문에 남동발전 산하 발전소는 화력발전소 중에서 가장 적은 비용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한전의 화력발전 자회사 중 가장 높은 이익을 내고 있다. 삼천포, 영흥, 분당, 영동, 여수 등에 발전본부를 두고 있다.

​한국남부발전 Kores Southern Power

협력 기간 | 2022년 가을 - 현재

한국전력회사의 자회사로 총 발전설비용량은 약 11,000MW이며 국내 전력공급의 약 10%를 담당하고있다. 또한 한국전력공사가 최대주주로 100%의 지분을 보유 중이다. 하동, 삼척, 남제주, 신인천, 부산, 영월, 안동, 한림 등에 발전본부를 두고 있다. 

​한전KPS KEPCO Plant Service & Engineering

​지멘스 Simens

협력 기간 | 2021년 봄 - 현재

베르너 폰 지멘스와 요한 게오르크 할스케가 설립한 엔지니어링 기업이며 본사는 독일 베를린과 뮌헨에 있다. 독일의 모든 원자로를 만든 만큼 전력 분야의 기술도 상당하다. 지멘스에너지는 2020년 4월 지멘스에서 분리돼 새롭게 출범한 별도의 독립 법인이며 가스터빈, 송전설비, 컴프레서, 조선 해양 분야에 대한 전기, 자동화, 디지털 장비 등의 제품을 공급하며, 수전해 설비, 수소 터빈, 에너지 저장장치, 이산화탄소 및 수소 컴프레서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아우르는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다. 

​요꼬가와전기 Yokogawa Electric

협력 기간 | 2021년 봄 - 현재

1915년 설립한 「요코가와 전기 제작소」가, 현재의 요코가와 전기의 시초다. 도쿄도 무사시노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계측, 제어 기기 업체로서는 일본 국내 최대, 세계 6위에 해당한다. 1933년부터 항공기 장비와 유량, 온도 및 압력 컨트롤러의 연구 및 제조를 시작했고, 이후 산업 계기 프로세스 제어 기기 제조사로 사업을 전환하였다. 현재 각종 플랜트의 생산 설비의 제어, 운전을 감시하는 분산 형 제어 시스템 및 현장 센서 장치를 취급하고 있으며 전력, 전압, 전류, 빛 등을 측정하는 기본 측정기 및 파형 측정기 광통신 측정기 등을 다루고 있다. 

​일진파워 Iljin Power

협력 기간 | 2021년 봄 - 현재

1989년에 설립한 일진파워는 발전설비제작 및 경상정비, 원자력사업을 하는 회사에서 2008년 신재생 에너지 분야인 태양광 사업(Reactor, Glower)에도 진출한 종합 에너지 기업이다. 

수산인더스트리 Soosan Industry

협력 기간 | 2023년 봄 - 현재

발전설비 유지 개보수 공사, 건설용역 등을 주요 업종으로 하는 기업이다. 1983년 4월 석원산업으로 설립되어 2015년 12월 현 사명인 수산인더스트리로 사명을 변경했다. 2003년 1월 화력발전설비 경상정비 참여를 시작으로, 2004년 7월 민간업체 최초로 원자력발전설비 경상정비에 참여하였으며, 2013년 양수발전설비 경상정비 사업을 수주하며 사업시장을 확장 중이다. 2016년 포스코그룹으로부터 포뉴텍(현 수산ENS)을 인수했다. 2022년 8월 1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한국발전기술 Korea Eng. & Power Service

협력 기간 | 2023년 여름 - 현재

발전설비 운영 및 정비사업을 주요 업종으로 하는 기업이다. 여수집단에너지사업시설 유동층보일러 운전 및 정비사업을 시작으로, 국내외 발전 및 산업시설에 대한 운영 및 정비사업으로 사업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2011년 한국남동발전이 54%, 금화PSC가 10%, 한국남동발전이 지원하는 9개 기업으로 구성된 회원사들이 각각 4%씩 36%를 출자하여 한국남동발전 자회사로 설립됐다. 2012년 유상증자 등을 거쳐 2014년 한국남동발전이 보유한 지분을 태광실업(칼리스타파워시너지 사모투자 전문회사)에 넘기며 민영화됐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Schneider Electric

협력 기간 | 2021년  - 현재

1836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다국적 기업이다. 19세기 창업 당시, 철강과 철도, 조선 그리고 화포를 위주로 개발했으나, 세계 2차 대전 이후, 발전과 송전설비 그리고 소프트웨어 쪽으로 선회했다. 다양한 인수합병을 통해 에너지관리, 데이터 센터 인프라, 영상보안, 태양광 인버터, 자동화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혀 원스톱 에너지 솔루션 제공하는 것으로 사업을 확장하였다. 1975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사업을 시작했으며 저압, 고압 송배전, 자동화, 빌딩 관리, 데이터 센터, 석유 화학, 에너지 관리 등 분야의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한국동서발전 Korea East-West Power

협력 기간 | 2022년 봄 - 현

한국전력회사의 자회사로 당진발전본부를 핵심발전소로 하여 울산발전본부, 동해발전본부, 일산발전본부, 신호남건설추진본부, 음성그린에너지건설본부 등 전국적으로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발전설비 용량은 약 9,000MW로 대한민국 전체 발전설비의 약 11%를 점유하고 있다. 

​한국중부발전 Korea Midland Power

협력 기간 | 2021년 봄 - 현재

한국전력회사의 자회사로 태안 이전까지 전국의 화력발전소 중 가장 큰 규모였던 보령발전본부를 운영 중이다. 또한 5개 발전사 중 해외 사업이 가장 활발하고 성과도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인도네시아 찌레본, 탄중자티 화력발전소와 왐푸, 땅가무스 수력발전소 등이 대표적이다. 총 보유 발전설비 용량은 약 8,500MW이며 국내 전력공급의 10%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한국전력공사가 최대주주로 100%의 지분을 보유 중이다. 서울, 인천, 보령, 신서천, 제주, 세종, 신보령, 함안 등에 발전본부를 두고 있다. 

​한국지역난방공사 KOR. District Heating Corp.

협력 기간 | 2023년 여름 - 현재

각 지역별 냉난방사업, 전력사업, 구역형집단에너지(CES), 신재생에너지사업 등으로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1985년에 설립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이다. 약칭은 '한난'이라 불린다. 1985년 11월 한국지역난방주식회사로서 설립되었다가, '집단에너지사업법'이 제정, 시행됨에 따라 1992년 5월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었다. 6본부, 18부처, 15지사, 4사업소 조직을 갖추고 있으며, 본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동에 위치해 있다.

​두산 에너빌리티 Doosan Enerbility

협력 기간 | 2022년 가을 - 현재

한라그룹의 뿌리인 현대양행에서 출발한 민영기업이다. 1981년 대우그룹에 인수되어 사명이 '한국중공업'으로 변경되었다. 1982년 창원종합기계공장을 세웠으나 1983년에 중장비공장을 삼성중공업, 트랙터공장을 금성전선에 각각 넘기고 발전설비, 선박 엔진 등에 집중했다. 2000년 12월 두산컨소시엄이 인수하면서 이듬해 '두산중공업'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수소, 풍력, 가스터빈, 소형 모듈형 원전 등에 사업을 집중하고 있으며 2022년 두산중공업에서 두산에너빌리티로 사명을 변경했다.

​제네럴 일렉트릭 General Electric

협력 기간 | 2021년 봄 - 현재

미국의 전기/발전사업 특화 대기업이다. 본사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 있다. 1892년에 톰슨-휴스턴사와 에디슨 제너럴 일렉트릭사와 합병하여 설립된 세계 최대의 전기소비기구 제조사였으며, 1890년대 직류 vs 교류의 송전/발전시설 표준 경쟁에서 조지 웨스팅하우스에 밀린 바 있으나, 현재는 항공, 헬스케어, 에너지로 분할되었으며 에너지 사업을 통해서 전세계에 발전소용 터빈을 납품하고 있다. 

​에이비비 ABB

협력 기간 | 2024년 봄 - 현재

1988년 스웨덴의 ASEA, 스위스의 BBC가 합병하여 탄생한 기업이다. ABB는 Investor AB 산하의 스위스의 기업이다. 주력산업 부문은 전력, 자동화기술, 로봇공학이다. FANUC과 함께 세계 산업용 로봇 점유율 1위, 2위를 다투는 기업이다. 그리고 변압기 점유율도 세계 1위다. 주요 사업 영역은 전력과 자동화 기술, 로봇 공학 부문으로 나뉜다. 전력 사업부에서는 전력 생산과 송배전에 필요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자동화 사업부는 산업 시설의 전 공정을 제어할 수 있는 각종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금화피에스시 Geumhwa PSC

금화.jpg

협력 기간 | 2021년 봄 - 현재

금화PSC는 1981년 5월에 설립되어 국내외 플랜트 건설 및 발전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한 발전설비경상정비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플랜트 전문 건설사업에서부터 발전설비 정비사업까지 시장에 진출하여 일관된 업무수행 능력을 보유한 플랜트 전문 기업이다.

​한국플랜트서비스 Hangook Plant Service

협력 기간 | 2023년 봄 - 현재

국내외 원자력 발전소를 비롯한 화력, 수력발전소의 전력설비와 각종 산업 플랜트 설비의 설계, 건설, 시운전, 정비 등을 진행하고 있다. 2016년 칼리스타파워시너지 사모투자 전문회사에 매각됐다. 2022년 7월, 포스코에너지와 합작법인 '에코에너지솔루션'을 설립했다. 국내외 발전설비 시운전 및 운전, 정비, LNG 터미널 관련 정비 등을 사업목적으로 하여 현재 전국 각지의 발전소와 산업 플랜트 현장에서 활발히 사업 영역을 확장 중에 있다.  

​옵티멀에너지서비스 Optimal Energy Service

협력 기간 | 2021년 봄 - 현재

정부의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정비시장의 개방화에 따른 경쟁체제 도입에 따라 설립된 기업이다. 2003년 6월 한전기공 퇴직 직원들이 설립한 민간 발전정비 회사로, '에이스기전' 사명으로 설립되었다. 2003년 9월 한전기공 보령복합화력 경상정비 하도급 공사 사업을 시작으로, 원자력 발전설비, 수력 발전설비 및 일반산업 플랜트 분야에 대한 운영 및 정비사업으로 사업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2017년 9월 화인엔지니어링(칼리스타에너지)에 인수되어 2017년 10월 '옵티멀에너지서비스'로 사명이 변경됐다.

​롯데 Lotte

협력 기간 | 2021년 겨울 - 현재

대한민국과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를 지역으로 활동하는 기업이다. 1948년 일본에서 설립되었고, 1967년에 롯데제과를 설립하면서 국내 사업을 확장하였다. 미라클 주식회사는 롯데월드의 협력업체로 각종 어트랙션의 기계, 계전분야의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있으며, 석유화학분야의 롯데케미칼과의 협력을 준비하고 있다.

bottom of page